맨위로가기

201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은 태국 촌부리주에서 개최된 U-16 여자 축구 대회이다. 태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일본이 본선에 자동 진출하고, 예선을 통해 오스트레일리아, 베트남, 중국, 방글라데시가 합류하여 총 8개 팀이 참가했다. 일본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꺾고 우승했으며, 중국이 3위를 차지했다. 상위 3개 팀인 일본, 중국과 개최국 인도는 2022년 FIFA U-17 여자 월드컵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9년 여자 축구 -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은 프랑스에서 개최되어 총 24개 팀이 참가한 8번째 대회로, 미국이 우승했으며 대한민국도 본선에 진출했다.
  • 2019년 여자 축구 - UEFA 여자 유로 2022 예선
    UEFA 여자 유로 2022 예선은 47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플레이오프를 거쳐 본선 진출 팀을 가리는 대회였으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러시아의 출전 자격이 박탈되어 포르투갈이 대신 본선에 진출했다.
  • 2019년 청소년 축구 - 2019년 FIFA U-20 월드컵
    2019년 FIFA U-20 월드컵은 폴란드에서 개최되었으며, 우크라이나가 대한민국을 꺾고 우승했고, 이강인은 골든볼을 수상했다.
  • 2019년 청소년 축구 - 2019년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
    2019년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은 탄자니아에서 개최되었으며, 카메룬이 우승하고 나이지리아가 3위를 차지했으며, 기니는 선수 연령 조작으로 실격되어 세네갈이 FIFA U-17 월드컵 출전권을 얻었다.
  • AFC U-16 여자 챔피언십 - AFC U-17 여자 아시안컵
    AFC U-17 여자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의 17세 이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국제 대회로, FIFA U-17 여자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하며 대한민국, 일본, 북한 등이 우승했고 2026년부터 매년 개최 및 참가팀 확대 예정이다.
  • AFC U-16 여자 챔피언십 - 2005년 AFC U-17 여자 챔피언십
    2005년 AFC U-17 여자 챔피언십은 대한민국 남해군에서 개최되어 일본 U-17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우승을 차지했고, 대한민국 U-17 여자 대표팀은 4위를 기록했다.
201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명칭201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다른 명칭2019 AFC U-16 Women's Championship (영어)
ฟุตบอลหญิงชิงชนะเลิศแห่งเอเชีย รุ่นอายุไม่เกิน 16 ปี 2019 (태국어)
개최국태국
개최 기간2019년 9월 15일 – 2019년 9월 28일
참가 팀 수8개국
참가 연맹 수1
경기장 수2
도시 수1
결과
우승 팀(4번째 우승)
총 경기 수16
총 득점 수63
총 관중 수2689
최다 득점 선수하마노 마이카 (5골)
최우수 선수니시오 하논
대회 통계
득점왕Maika Hamano (5골)
최우수 선수Hanon Nishio
이전 및 이후 대회
이전 대회2017
다음 대회2022
2024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201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은 태국 촌부리주에서 개최되었다. 경기장은 촌부리 스타디움과 IPE 촌부리 스타디움이 사용되었으며, 두 경기장 모두 므앙촌부리군에 위치해 있다.

3. 예선

개최국인 태국과 2017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상위 3개 팀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일본은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다.[20] 나머지 4개 팀은 예선을 통해 본선에 진출했는데, 오스트레일리아, 베트남, 중국, 방글라데시가 해당된다. 총 30개 팀이 예선에 참가했으며, 참가 팀 수 증가로 인해 처음으로 2라운드 예선이 진행되었다. 1라운드는 2018년 9월 15일부터 23일까지,[5] 2라운드는 2019년 2월 23일부터 3월 3일까지 진행되었다.[6]

4. 본선

4. 1. 시드 배정

201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본선 조 추첨은 2019년 5월 23일에 태국 촌부리주에서 진행되었다.[7][8] 대회에 참가한 팀들은 2017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본선과 예선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시드를 배정받았다. 개최국인 태국은 자동 시드를 받아 A1에 배정되었다.[9]

1포트2포트3포트4포트


4. 2. 조별 리그

8개 팀이 2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했다. 각 조 상위 2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순위 결정 방식

팀 순위는 승점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으로 결정되며, 승점이 동률일 경우, 순위 결정을 위해 다음 기준을 순서대로 적용한다:[10]

# 동률 팀 간의 승자승 점수;

# 동률 팀 간의 골득실 차;

# 동률 팀 간의 득점;

# 2개 팀 이상이 동률이고, 위의 승자승 기준을 모두 적용한 후에도 일부 팀의 순위가 동률인 경우, 이 동률 팀에 한해 위의 모든 승자승 기준을 다시 적용한다;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득실 차;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득점;

# 단 2개 팀이 동률이고, 조별 리그 마지막 라운드에서 맞대결을 펼친 경우 승부차기;

# 페어플레이 점수 (경고 1점, 경고 누적으로 인한 퇴장 3점, 직접 퇴장 3점, 경고 후 직접 퇴장 4점);

# 추첨.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 기준이며, ICT (UTC+7)이다.

경기 일정
경기 날짜날짜경기
1일차2019년 9월 15일–16일1 vs 4, 2 vs 3
2일차2019년 9월 18일–19일4 vs 2, 3 vs 1
3일차2019년 9월 21일–22일1 vs 2, 3 vs 4



2019년 5월 23일에 조별 리그 조 편성이 발표되었다.[21][22]

일시는 모두 현지 시간(UTC+7:00)이다.

'''A조'''에는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태국, 방글라데시가 편성되었다.[21][22] 일본과 호주가 각각 1위와 2위로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경기승점
일본3210170+177
오스트레일리아312083+55
태국3102214-123
방글라데시3012212-101


  • 참고: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7:00)을 따른다.영어

  • 2019년 9월 15일:
  • * 일본 0 - 0 오스트레일리아 (촌부리 체육 연구소 캠퍼스 스타디움, 촌부리)[21]
  • * 태국 1 - 0 방글라데시 (촌부리 스타디움, 촌부리)[21]
  • ** 득점: 타완랏

  • 2019년 9월 18일:
  • * 방글라데시 0 - 9 일본 (촌부리 체육 연구소 캠퍼스 스타디움, 촌부리)[21]
  • ** 득점: 하야시 , 하마노 , 오타 , 네부 , 히라나카 , 탄노
  • * 오스트레일리아 6 - 1 태국 (촌부리 스타디움, 촌부리)[21]
  • ** 득점:

오스트레일리아: 얀체브스키 , 로리 , 보몬트
태국: 자니스다

  • 2019년 9월 21일:
  • * 태국 0 - 8 일본 (촌부리 스타디움, 촌부리)[22]
  • ** 득점: 하마노 , 니시오 , 탄노 , 오야마 , 이노세 , 아마노
  • * 오스트레일리아 2 - 2 방글라데시 (촌부리 체육 연구소 캠퍼스 스타디움, 촌부리)[22]
  • ** 득점:

오스트레일리아: 미호치치 , 조이스
방글라데시: T. 카툰

B조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대한민국, 베트남이 편성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국이 각각 1위와 2위로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경기승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3300170+179
중국중국어320134-16
대한민국한국어310235-23
베트남vi3003014-140

4. 2. 1. A조

'''A조'''에는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태국, 방글라데시가 편성되었다.[21][22] 일본과 호주가 각각 1위와 2위로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경기승점
일본3210170+177
오스트레일리아312083+55
태국3102214-123
방글라데시3012212-101


  • 참고: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7:00)을 따른다.영어

  • 2019년 9월 15일:
  • * 일본 0 - 0 오스트레일리아 (촌부리 체육 연구소 캠퍼스 스타디움, 촌부리)[21]
  • * 태국 1 - 0 방글라데시 (촌부리 스타디움, 촌부리)[21]
  • ** 득점: 타완랏

  • 2019년 9월 18일:
  • * 방글라데시 0 - 9 일본 (촌부리 체육 연구소 캠퍼스 스타디움, 촌부리)[21]
  • ** 득점: 하야시 , 하마노 , 오타 , 네부 , 히라나카 , 탄노
  • * 오스트레일리아 6 - 1 태국 (촌부리 스타디움, 촌부리)[21]
  • ** 득점:

오스트레일리아: 얀체브스키 , 로리 , 보몬트
태국: 자니스다

  • 2019년 9월 21일:
  • * 태국 0 - 8 일본 (촌부리 스타디움, 촌부리)[22]
  • ** 득점: 하마노 , 니시오 , 탄노 , 오야마 , 이노세 , 아마노
  • * 오스트레일리아 2 - 2 방글라데시 (촌부리 체육 연구소 캠퍼스 스타디움, 촌부리)[22]
  • ** 득점:

오스트레일리아: 미호치치 , 조이스
방글라데시: T. 카툰

4. 2. 2. B조

B조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대한민국, 베트남이 편성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국이 각각 1위와 2위로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경기승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3300170+179
중국중국어320134-16
대한민국한국어310235-23
베트남vi3003014-140

4. 3.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에서는 양 팀이 정규 시간 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우에는 연장전 없이 승부차기를 실시했다.[10]

9월 25일에 열린 준결승전에서 일본은 중국을 2-0으로 꺾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오스트레일리아를 3-0으로 꺾고 각각 결승에 진출했다.

9월 28일에 열린 3·4위전에서는 중국이 오스트레일리아를 2-1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같은 날 열린 결승전에서는 일본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4. 3. 1. 준결승전

2019년 9월 25일에 열린 두 경기에서, 일본은 중국을 2-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같은 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호주를 3-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시간 (UTC+7)팀 1결과팀 2득점 (팀 1)경기장관중
12:00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 – 0호주김혜영 (14분, 17분), 김보미 (90+3분)촌부리 스타디움, 촌부리150명
16:00일본2 – 0중국니시오 하논 (71분), 하마노 마이카 (82분)촌부리 스타디움, 촌부리152명


4. 3. 2. 3·4위전

2019년 9월 28일 16시(UTC+07:00)에 촌부리 스타디움(촌부리)에서 열린 중국과 호주의 3·4위전 경기는 중국이 2-1로 승리하며 3위를 차지했다. 스샤오민과 쩌우멍야오가 후반전에 연속골을 기록하며 중국에 승리를 안겼고, 호주는 해나 로리가 전반 1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역전을 허용했다. 관중은 180명이 입장했고, 심판은 대한민국의 김유정이 맡았다.

4. 3. 3. 결승전

2019년 9월 28일 20시(UTC+07:00), 촌부리 스타디움(촌부리)에서 열린 201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결승전에서 일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전반 9분 홍송옥이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으나, 전반 19분 아마노 스즈(아마노)와 전반 23분 하야시 마나카(하야시)의 연속골로 일본이 역전승을 거두었다. 관중은 280명이 입장했으며, 주심은 홍콩 출신의 라우빅치가 맡았다.

5. 우승



'''일본'''

'''4번째 우승'''

6. 수상

201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의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11]

득점왕대회 MVP페어 플레이 트로피
25px 하마노 마이카25px 니시오 하논25px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하마노 마이카는 5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11]

7. 2022 FIFA U-17 여자 월드컵 참가 팀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2021년 10월 14일에 201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에서 상위 3위 이내의 성적을 기록했던 팀들에게 인도에서 열릴 예정인 2022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참가 자격을 부여하기로 결정했다.[25][26]


  • 인도 (2022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
  • 일본 (201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우승)
  • 중국 (201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3위)


국제 축구 연맹(FIFA)은 2022년 8월 16일에 전인도 축구 연맹에 자격 정지 처분을 내렸는데, 이는 FIFA 규정에 대한 위반 사항 가운데 하나인 제3자의 부당한 영향력 행사 때문이었다.[27][28] 그러나 FIFA가 2022년 8월 27일에 전인도 축구 연맹에 대한 자격 정지 처분을 해제하면서 인도는 2022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개최권을 회복했다.[29][3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원래 201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여 2022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참가 자격을 획득했으나, 코로나19 범유행을 이유로 대회에 불참한다고 통보했다. 이에 따라 아시아 축구 연맹은 2022년 3월 16일에 중국이 본선 진출 자격을 승계받는다고 결정했다.[31][32]

참조

[1] 웹사이트 AFC Women’s Football Committee recommends women’s club competition http://www.the-afc.c[...] AFC 2018-04-20
[2] 웹사이트 Bureau of the FIFA Council decisions on FIFA events https://www.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20-05-12
[3] 웹사이트 Update on FIFA Club World Cup 2020 and women’s youth tournaments https://www.fifa.com[...] FIFA.com 2020-11-17
[4] 웹사이트 AFC Women’s Football Committee approves AFC Women’s Club Championship https://www.the-afc.[...] AFC 2019-09-27
[5] 웹사이트 AFC Competitions Calendar 2018 http://www.the-afc.c[...] AFC 2018-01-11
[6] 웹사이트 AFC Competitions Calendar 2019 http://www.the-afc.c[...] AFC 2018-02-28
[7] 웹사이트 Asia's new faces set to discover path to glory http://www.the-afc.c[...] AFC 2019-05-22
[8] 웹사이트 Draw sets up enticing matches http://www.the-afc.c[...] AFC 2019-05-23
[9] Youtube AFC U-16 Women's Championship Thailand 2019 Draw http://www.youtube.c[...] YouTube 2019-05-23
[10] 웹사이트 AFC U-16 Women's Championship 2019 Competition Regulations http://www.the-afc.c[...] AFC
[11] 웹사이트 Nishio awarded Most Valuable Player, Hamano Top Scorer https://www.the-afc.[...] AFC 2019-09-28
[12] 웹사이트 AFC Women's Football Committee hails the successful restart of the Asian women's game https://www.the-af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21-10-14
[13] 웹사이트 Asia’s representatives at FIFA women’s competitions confirmed https://www.the-af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22-03-16
[14] 웹사이트 FIFA suspends All India Football Federation https://www.fifa.com[...] 2022-08-16
[15] 뉴스 FIFA lifts Indian federation ban, U-17 World Cup to go ahead as planned https://www.reuters.[...] 2022-08-26
[16] 웹사이트 FIFA Council decides on key steps for upcoming international tournaments https://www.fifa.com[...] 2019-03-15
[17] 웹사이트 Asian pair earn passage to world stage https://www.fifa.com[...] FIFA.com 2019-09-25
[18] 문서 AFC Women’s Football Committee recommends women’s club competition http://www.the-afc.c[...]
[19] 문서 本来は本大会の上位3チームに出場権が与えられるが、今大会は翌年のU-17女子ワールドカップがインドで開催されることと、インドがアジア枠として出場するため、決勝に進出した日本と北朝鮮が出場権を獲得。準決勝で敗退した中国とオーストラリアは出場権を逃した。
[20] 문서 Kuala Lumpur: The AFC U-16 Women’s Championship 2019 Qualifiers Round 1 is set to kick-off following the official draw at the AFC House in Kuala Lumpur on Wednesday. http://www.the-afc.c[...]
[21] 문서 Asia's new faces set to discover path to glory http://www.the-afc.c[...]
[22] 문서 Draw sets up enticing matches http://www.the-afc.c[...]
[23] 웹인용 Update on FIFA Club World Cup 2020 and women’s youth tournaments https://www.fifa.com[...] FIFA.com 2020-11-17
[24] 뉴스 FIFA 클럽월드컵 내년 2월로 연기…女 U-20·U-17 월드컵은 취소 https://www.yna.co.k[...] 2023-08-07
[25] 웹인용 AFC Women's Football Committee hails the successful restart of the Asian women's game https://www.the-af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21-10-14
[26] 뉴스 한국 여자축구, 2022년 FIFA U-20 월드컵 출전 https://www.yna.co.k[...] 2023-08-07
[27] 웹인용 FIFA suspends All India Football Federation https://www.fifa.com[...] 2022-08-16
[28] 뉴스 FIFA, 인도 축구협회 자격정지…U-17 여자월드컵 일정도 차질 https://www.yna.co.k[...] 2022-08-16
[29] 뉴스 FIFA lifts Indian federation ban, U-17 World Cup to go ahead as planned https://www.reuters.[...] 2022-08-26
[30] 뉴스 FIFA, 인도축구협회 자격정지 해제…U-17 여자월드컵 예정대로 https://www.yna.co.k[...] 2022-08-16
[31] 웹인용 Asia’s representatives at FIFA women’s competitions confirmed https://www.the-af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22-03-16
[32] 뉴스 북한 축구, U-17·U-20 여자 월드컵 불참…2년 넘게 '두문불출' https://www.yna.co.k[...] 2023-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